
LEE Jihyun
Red Scene_Cage 1, 2020
Oil on canvas
243.8 × 182.4 cm
For LEE, the ‘Red Scene’ is at once a symbolic presentment of and mechanism for summoning remembered or forgotten memories back to the realm of reality through either willful or...
For LEE, the ‘Red Scene’ is at once a symbolic presentment of and mechanism for summoning remembered or forgotten memories back to the realm of reality through either willful or unconscious measures. In the exhibition, LEE presents paintings and doll objects tha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visualize this concept, along with a small-size painting series entitled ‘Fantasma’. The red spaces that intermittently appear throughout the exhibition serve as a boundary between the viewers and the spaces within the paintings; blending reality and fiction, the virtual and the actual, and past and present. Smaller paintings—which illustrate the fleeting thread of reveries that emerge in the process of creating larger works—are intentionally interspersed among the pieces that showcase the 'Red Scene'. This curatorial setting demonstrates LEE’s distinct artistic method and reflective thought process that incessantly seizes and connects the links between memories and musings at random.
작가에게 ‘레드씬’이라는 개념은 기억하고 있거나 망각된 과거를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인 방식으로 현실에 소환할 수 있는 장치이자 상징적 표상으로 기능한다. 본 전시에서 작가는 이 ‘레드씬’ 개념을 직간접적으로 시각화한 회화 작업과 인형 오브제, 그리고 덧붙여 작은 사이즈의 회화 연작인 “판타즈마(Fantasma)”를 선보인다. 회화 작업에서 전시 중간에 하나씩 등장하는 직접적 ‘레드씬’의 표상인 붉은 색 공간들은 감상자와 회화 속 공간을 분리하는 경계로 기능하며 실재와 허상, 가상과 현실, 현재와 과거의 혼재를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레드씬’을 표상화한 회화 작업 사이에는 다소 작은 사이즈의 회화들이 의도적으로 배치되는데, 대형 회화 작업을 만드는 중간중간 환상처럼 떠올랐다가 사라지는 여러 가지 생각들을 이미지화한 “판타즈마” 시리즈를 함께 배치함으로써 기억과 사유의 연결고리들을 끊임없이 잡아채고 무작위적으로 연결하는 작가만의 독특한 작업 방식과 사유의 흐름을 고스란히 보여주려 했다.
작가에게 ‘레드씬’이라는 개념은 기억하고 있거나 망각된 과거를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인 방식으로 현실에 소환할 수 있는 장치이자 상징적 표상으로 기능한다. 본 전시에서 작가는 이 ‘레드씬’ 개념을 직간접적으로 시각화한 회화 작업과 인형 오브제, 그리고 덧붙여 작은 사이즈의 회화 연작인 “판타즈마(Fantasma)”를 선보인다. 회화 작업에서 전시 중간에 하나씩 등장하는 직접적 ‘레드씬’의 표상인 붉은 색 공간들은 감상자와 회화 속 공간을 분리하는 경계로 기능하며 실재와 허상, 가상과 현실, 현재와 과거의 혼재를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레드씬’을 표상화한 회화 작업 사이에는 다소 작은 사이즈의 회화들이 의도적으로 배치되는데, 대형 회화 작업을 만드는 중간중간 환상처럼 떠올랐다가 사라지는 여러 가지 생각들을 이미지화한 “판타즈마” 시리즈를 함께 배치함으로써 기억과 사유의 연결고리들을 끊임없이 잡아채고 무작위적으로 연결하는 작가만의 독특한 작업 방식과 사유의 흐름을 고스란히 보여주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