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강자: 마지막 여행은 달에 가고 싶다
《정강자: 마지막 여행은 달에 가고 싶다》는 2017년 7월 별세한 故정강자의 타계 이후 첫 번째 회고전이다. 작고 1년 전부터 계획되어 온 이번 개인전은 삼청동 개관 이후 처음으로 아라리오갤러리 천안과 서울에서 동시에 개최된다. 정강자의 50여년간의 화업을 조망함으로써 격동적이었던 한국의 역사를 관통했던 한 여성 예술가의 열정과 애환의 경로를 되짚어보고자 한다.
정강자는 1942년생으로 홍익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해 1967년 《청년작가연립전》으로 한국화단에 등단했다. 강력한 군사정권과 이데올로기가 대립했던 1960-1970년대에 ‘신전(新展)’과 ‘제4집단’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조형적 실험으로써 사회적 발언을 시도했다. 예술가의 신체와 행위를 이용해 현실정치를 작품의 맥락으로 도입하는 방식은 기성관념을 향한 도전이자 사회체제에 대한 반성의 발로이기도 했다. 하지만, 신체를 활용한 모든 활동에 정부의 제재가 심화하기 시작했던 1970년, 첫 번째 개인전 《무체전(無體展)》의 강제철거를 계기로 작품활동을 중단해야만 했고, 이후 가족과 함께 싱가포르로 이주해 10여년간 한국 미술계를 떠나 있었다. 여성의 몸을 당당하게 작품의 중심으로 위치시켜 한 개인으로서의 주체성을 확보하고자 했지만 한계에 부딪쳤던 것이다.
《마지막 여행은 달에 가고 싶다》는 정강자의 초창기 작품과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기 위한 그의 끈질긴 예술혼이 투영된 작품 60여점을 소개한다. 1960년대 작가의 사회적 문제의식과 주체정신은 1981년 귀국 후 전념했던 회화에서의 조형적 실험으로 이어졌다. 작가의 강렬한 의지는 그가 처했던 소외를 이겨낼 수 있었던 자극제이자 고된 투병생활에도 캔버스 앞에 서게 했던 원동력이 되었다. 특히, 반원을 활용해 화면을 힘차게 채워나가는 최근 15년간의 작업은 신체를 통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 추상적이고 초월적인 형태를 통해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어 가는 것을 보여준다. “그 어떤 것에도 얽매이지 않는 무한의 자유공간, 그곳에서 나만의 방식으로 펼쳐가는 상상들”로 자신을 해방하고자 했던 것이다.
아라리오갤러리는 이번 회고전을 위해 정강자의 작업세계를 총체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작품을 한 자리에 모았다. 천안에서는 대형 회화작품을 포함해 바틱작업, 조각, 소품을 전시하고, 서울에서는 시기별 대표 작품을 선정했다. 작업의 흐름을 탐색하다 보면 평생을 한없이 살아가려 했던 작가의 집념, 그리고 여성이자 예술가로서 짊어지고 가야 했던 쓸쓸함을 느껴볼 수 있다. 작가의 일생을 정리하는 이번 전시를 통해 삶과 예술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